K패스 사업이 시작되었어요.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계시는 서비스인 만큼! K패스 교통카드 혜택과 카드사별 비교 및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
K패스란?
대중교통(지하철, 시내버스, 광역버스, GTX 포함)을 정기적으로 월 15회 이상 이용 시 그 금액의 일정 비율을 익월에 환급해 주는 서비스입니다.
기존 알뜰교통카드가 폐지되면서 새로 나온 정책 사업입니다.
-환급 비율 : 일반 20% / 청년 (만 19 ~ 34세) 30% / 저소득층 (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) 53%
-환급액 한도 : 최대 60회분
*가입 첫 달에는 월 15회 미만 이용하더라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(단, 지출한 교통비가 20만 원 초과 시 초과분에 대해서는 환급률이 절반으로 감소합니다)
K패스 교통카드 혜택 카드사 비교
K패스는 영업 5일 만에 가입자가 100만 명을 돌파할 만큼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죠
이는 카드 발급과 함께 회원가입만 하면 사용이 가능한데, 발급 가능한 카드사는 아래 10곳입니다.
-KB국민
-신한
-우리
-하나
-농협
-BC
-삼성
-현대
-DGB유페이
-이동의 즐거움(모바일 이즐, 카카오페이 모바일 교통카드)
참고사항
신한카드
연회비 : 국내전용 7천 원/ 해외겸용 1만 원
할인 한도 : 전월실적 30~60만 원 : 7천원 / 60만원 이상 : 1만 5천 원
대중교통 10% 할인 외에도, 간편 결제 (신한 SOL페이, 삼성월렛, 네이버페이 등) 이용하여 결제 시 5%를 할인해 줍니다.
편의점, 배달앱, 커피전문점, 이동통신요금, 올리브영, 병원/약국, OTT 등 생활 부문에도 5% 할인이 적용됩니다.
국민카드
연회비 : 국내전용 8천 원 / 해외겸용 8천원
할인 한도 : 전월실적 30만 원 이상 : 1만 5천 원
대중교통 10%, 편의점, 이동통신, 커피, 영화, 약국, 패스트푸드 업종 등 생활서비스에서 5% 할인이 제공됩니다.
BC카드
연회비 : 국내전용 6천 원 / 해외겸용 7천 원
할인 한도 : 전월실적 30~60만 원 : 1만 원 / 60~100만 원 : 2만원 / 100만원 이상 : 3만 원
본연의 목적에 집중해 대중교통 할인폭이 큰 카드를 찾는다면 BC
다른 카드들은 모두 대중교통 10% 할인이지만, BC바로는 15%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
이외 OTT 15%, 이동통신요금과 편의점, 카페 등은 5% DC를 해줍니다.
삼성카드
연회비 : 국내전용 1만 원 / 해외겸용 1만원
할인 한도 : 전월실적 40만 원 이상 : 1만 7천 원
커피전문점, 디지털콘텐츠 OTT 및 멤버십에 20% 할인을 제공합니다
우리 카드
연회비 : 국내전용 1만 3천 원 / 해외겸용 1만 5천 원
할인 한도 : 전월실적 30~70만 원 : 1만원 / 70만원 ~120만 원 : 2만원 / 120만원 이상 : 4만 원
스타벅스 및 통신, 공과금, 렌털 등 자동납부 업종 10% 할인
K패스 신청 방법
신청 방법은 아주아주 간단합니다
1. 10개 카드사 중 원하는 곳에서 카드 발급 신청
2. K패스 공식 앱 또는 홈페이지 통해 회원가입 및 카드 번호 등록
만약 기존에 알뜰 교통카드를 이용하던 분이라면 추가 발급이나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알뜰교통카드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회원 전환 절차만 진행하면 됩니다.
잘 비교해 보시고 본인이 제일 잘 맞는 카드로 선택해서 교통비 절감, 생활비 절감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
'정부지원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과 지원대상에 대해서 알아보기 (0) | 2024.05.09 |
---|---|
산모,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및 지원대상과 신청방법에 대해 설명드려요 (0) | 2024.05.08 |
고용보험 미적용자도 출산급여 지원받는 방법 (0) | 2024.05.08 |
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신청 방법 및 지원 대상과 선정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기 (0) | 2024.05.08 |
청소년특별지원 신청방법 및 지원대상에 대해서 알아보기 (0) | 2024.05.07 |